문제
새로 생긴 놀이기구는 인기가 매우 많아 줄이 끊이질 않습니다. 이 놀이기구의 원래 이용료는 price원 인데, 놀이기구를 N 번 째 이용한다면 원래 이용료의 N배를 받기로 하였습니다. 즉, 처음 이용료가 100이었다면 2번째에는 200, 3번째에는 300으로 요금이 인상됩니다.
놀이기구를 count번 타게 되면 현재 자신이 가지고 있는 금액에서 얼마가 모자라는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단, 금액이 부족하지 않으면 0을 return 하세요.
제한사항
- 놀이기구의 이용료 price : 1 ≤ price ≤ 2,500, price는 자연수
- 처음 가지고 있던 금액 money : 1 ≤ money ≤ 1,000,000,000, money는 자연수
- 놀이기구의 이용 횟수 count : 1 ≤ count ≤ 2,500, count는 자연수
- 출력 예시 -
정답 코드
< 내 정답 코드 1 >
class Solution {
public long solution(int price, int money, int count) {
long originalPrice = price;
long sum = 0;
for (int i = 0; i < count; i++) {
sum += price;
price += originalPrice;
}
if (money >= sum) {
return 0;
} else {
return (long) Math.abs(money - sum);
}
}
}
< 내 정답 코드 2 >
class Solution {
public long solution(int price, int money, int count) {
long totalPrice = count * (2 * (long) price + (count - 1) * price) / 2;
return money - totalPrice > 0 ? 0 : -(money - totalPrice);
}
}
< 타인 답변 코드 >
class Solution {
public long solution(int price, int money, int count) {
long answer = money;
for (int cnt = 0; cnt < count; cnt++) {
answer -= (price * (cnt + 1));
}
return (answer > 0 ? 0 : -answer);
}
}
이것을 주의하자!
- 처음 작성한 코드는 '등차수열의 합' 공식을 사용하지 않고 for 문을 통해 필요한 금액을 다 더해서 값을 구했다. 이 원리를 이용해서 더 세련되게 작성한 게 '타인 답변 코드'이다. 타인 답변 코드에선 ' price * ( cnt + 1 ) ' 을 통해서 증가하는 이용료를 계산했다. 따로 originalPrice 변수를 만든 나보다 더 수학적인 코드다.
또한 return 도 if 문을 쓴 것보다 삼항 연산자로 더 간단하고 명료하게 작성했다. 이런 점은 내가 배워야 한다.
- 등차수열의 합을 통해 수학적으로 접근이 가능하다!
▶ 등차수열이란? : 첫째항에서 일정한 수를 더해서 얻은 항으로 이루어진 수열이다. (예: 2, 4, 6, 8 ... )
: 더해지는 일정한 수를 ' 공차 ' 라고 부른다.
▶ 등차수열의 합 공식 : 등차수열의 합을 구하는 공식은 크게 2 가지가 있다.
1) 첫째항(a), 데이터 개수(n), 마지막 항(l) 을 알고 있을 때,
2) 첫째항(a), 데이터 개수(n), 공차(d) 을 알고 있을 때,
→ 마지막 항 l 은 '첫째항'과 '전체 항 개수 - 1'을 공차만큼 곱한 수와 합친 것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공식을 활용해 등차수열의 합을 구할 수 있다.
'코딩 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Lv.1) 2016년 (0) | 2022.09.04 |
---|---|
[프로그래머스] (Lv.1) 나머지가 1이 되는 수 찾기 (0) | 2022.09.04 |
[프로그래머스] (Lv.1) 비밀지도 ** (0) | 2022.09.02 |
[프로그래머스] (Lv.1) 다트 게임 ** (0) | 2022.09.02 |
[프로그래머스] (Lv.1) 가운데 글자 가져오기 (0) | 2022.09.01 |